저자 : 김난도, 전미영, 최지혜, 이수진, 권정윤, 이준영, 이향은, 한다혜, 추예린
출판사 : 미래의창
출간일 : 2022.10.05
언젠가부터 매년 읽게 되는 '트렌드 코리아'
하루하루 정신없이 살면서 세상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감지하지 못하는데
트렌드 책을 읽으면서 지난 1년을 돌아보고, 앞으로 다가올 1년도 생각해보게 된다.
이번에도 재밌게 읽었다... ^^
2022년 10대 트렌드 상품
K-콘텐츠
비대면 플랫폼
캐릭터 기획 식품
상담 예능
친환경 포장
제로음료
이색 주류
셀프사진관
새치샴푸
도심 근교 대형 카페
▷ 내가 경험한 것은, K-콘텐츠, 캐릭터 기획 식품, 제로음료, 도심 근교 대형 카페, 4가지이다.
K-콘텐츠의 경쟁력이 많이 올라갔다는 것을 느끼고 있다. 특히나 드라마에서 많이 느낀다. 나름 미드를 많이 본다고 자부하는데, 요즘엔 외국 드라마보다 한국드라마가 더 재밌다고 생각할 때가 있다.
지금 떠오르는 드라마 중에는... '형사록',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우리들의 블루스', '나의 해방일지', '돼지의 왕', '구경이'... 굉장히 많은데 다 기억나진 않는구나...
캐릭터 기획 식품 중 대표적인 것은 '포켓몬 빵'일 것이다. 내 기억 속 오래전에 팔던 옛날 제품인데 다시 출시되었고, 어린이들이 열광하고, 일부 어른들도 좋아하더라;; ㄷㄷ
제로음료는 내가 많이 소비하는 제품이다. 탄산음료가 마시고 싶은데 당분과 열량이 부담스러울 때, 죄의식 갖지 않고 편하게 마실수 있는 제로음료를 요즘 많이 마신다.
도심 근교 대형 카페도 이해가 되는 부분이다. 우리 가족도 근교 대형 카페 나들이를 종종 가곤하니까...
2023년 10대 트렌드
소비의 전형성이 사라지는 시대의 트렌드
10가지 트렌드는 경제·사람·기술의 세 가지 축으로 유형을 나눌 수 있다. ① 한국 사회의 방향성 전환과 불황에 따른 시장 변화(평균 실종, 체리슈머, 뉴디멘드 전략), ② 새로운 세대의 등장에 따른 가치관 변화(오피스 빅뱅, 인덱스 관계, 디깅모멘텀, 알파세대, 네버랜드 신드롬), ③ 기술의 진보에 따른 유통과 공간의 변화(선제적 대응기술, 공간력) 등의 세 가지 변화가 어떻게 2023년의 트렌드를 움직여나가는가에 초점을 맞췄다.
- 서문 내용 中
1980~2009년에 이르는 30년 세대를 MZ라는 하나의 이름으로 몰아넣는 것이 매우 거친 작업이기는 하지만, 이 새로운 세대가 우리 사회의 요소 하나하나에서 큰 변화를 불러일으키고 있는 것만은 분명하다.
지금 우리 사회에서 가장 어린 세대는 알파세대다. 마지막 영문자 Z세대의 다음 세대라서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알파라는 이름을 붙였다. 하지만 2010년 이후에 태어난 이들은 태어나면서부터 디지털 기기를 접한, 인류 최초의 진정한 디지털·모바일 네이티브라는 의미에서 신인류의 시작, '알파'라 부를 만하다.
인덱스 관계
디깅모멘텀
네버랜드 신드롬
▷ 다른 부분은 잘 체감되지 않는데, 가치관 변화에 대해서는 체감하고 있다.
인덱스 관계, 디깅모멘텀, 네버랜드 신드롬...
인덱스 관계, 나만 그렇게 생각하는 건 아니었구나...
인간관계를 분류하게 된다. 오래된 친구들, 대학 친구들, 최근에 만난 자기계발 동지들(?), 달리기 동호회 사람들
누구를 만나는냐에 따라 이야기 나누는 주제가 확연히 달라진다.
예전에는 친구들과 거의 모든 주제에 대해서 이야기 나눴던것 같은데, 이제는 각자의 관심분야가 아닌 것으로는 대화가 거의 이어지지 못한다. 그런 면에서는 디깅모멘텀과도 조금 연관이 되어 있는걸까?
▷ 디깅모멘텀... 오타쿠/덕후, 너드, 팬슈머, 디깅... 자신의 취향에 맞는 한 분야를 깊이 파고드는 행위
요즘엔 이런것이 멋으로 존중받는 시대 아닐까? 덕후라고 불리는 것이 예전에는 조롱의 표현이었다면, 요즘엔 무언가에 200% 진심인 사람들을 표현하는... 존경까지는 아니지만, 존중의 표현 정도는 된 것 같다.
덕후들이 자신의 지식을 풀어놓기 시작하면 존중이 존경으로 바뀌는 일도 자주 있다.
덕후들이 존중받는 것...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남에게 피해를 주는것이 아니라면, 무언가를 열심히 하는 것은 멋진 일이다.
▷ 네버랜드 신드롬... 나이들기를 거부하는 피터팬들이 많아지는 트렌드
1. Return, 어린 시절로 돌아가다
2. Stay, 나이 듦을 거부하다
3. Play, 아이처럼 재밌게 놀다
사회가 어려지는 이유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꾸준한 추세로 사회가 유년화되고 있는 배경에는 그보다 훨씬 더 근본적인 변화가 자리하고 있다. 바로, 사람들이 더 오래 살게 됐다는 것이다. 인간의 수명이 길어지면서 생애주기도 구조적 변화를 겪고 있다.
굳이 '네버랜드 신드롬'이라고 명명하면서 나이들기를 거부하는 사람들이라고 이야기할 필요가 있을까?
단순히 좋아하는 것을 하고 싶을뿐이라고 생각한다. 이전 세대에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사회적으로 요구되는 전형적인 패턴에 따랐다면... 지금 시대에는 그 전형적인 것을 따르지 않고, 각자가 좋아하는 것을 추구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반문하고 싶다. 나이가 들어가면서 나이에 맞는 전형적인 행동을 하고 살아야 하는가?
'영화, 드라마, 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즈니플러스] 형사록 (찐 형사가 여기 있다)(후기/평점/몇부작) (0) | 2022.12.13 |
---|---|
[독서 후기] 부린이가 궁금한 질문 TOP 99 - 레비앙 著 (진짜 가려운 부분을 시원하게 긁어준다 ㅋㅋ) (0) | 2022.12.06 |
[추천 도서 리뷰] 대출의 마법 - 레오(김은진) 지음 (0) | 2022.11.13 |
[서평] 앞으로 3년, 재건축에 돈을 묻어라 - 김선철 著 (0) | 2022.10.21 |
[서평] 이은하 세무사의 부동산 절세 오늘부터 1일 (2022 개정판)(feat. 리디 전자책 사용 후기) (1) | 2022.09.23 |
댓글